진로정보마당
진로 동영상
총 250개의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습니다.
녹색건축전문가
김영찬
2018-01-04
4434
녹색건축전문가
영상자막
녹색건축전문가
자연에 가까운 건축물을 짓다
녹색건축전문가는 건축물이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적합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설계·시공 안을 계획하고 검토하며,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제안해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및 컨설팅을 수행하는 건축가 또는 관련 엔지니어를 말한다. 이를 위해 녹지 등의 생태공간 조성, 에너지 효율 고려, 친환경 자재 사용 등을 통해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적합한 건축물을 설계한다.
≫ 녹색건축전문가가 활동하게 된 배경은 「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」이 제정되면서(2013.2.23. 시행) 녹색건축 인증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. 법률에 따라 공공주택 1천 세대 이상을 짓거나 연면적 3천m2이상의 공공건축물을 지을 때는 녹색건축 인증제 적용해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지어야 한다.
≫ 녹색건축이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을 계획·설계·시공·평가하는 과정이며, 녹색건축 인증제란 에너지와 자원의 절약, 오염물질 배출 감소, 쾌적성,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거쳐 건축물에 대한 환경적인 성능을 인증하는 제도를 말한다.
≫ 녹색건축전문가는 건축전문가의 역량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며 친환경적인 전문지식 및 건축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. 이를 바탕으로 녹색건축 인증기준 등 친환경 지식을 활용해 건축물의 에너지와 자원이 얼마나 절약되는지, 오염물질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, 주변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확인하고 평가해 계획,설계, 시공에 반영한다.
(※녹색건축 인증기준은 토지이용 및 교통, 에너지 및 환경오염,재료 및 자원, 물순환 관리, 유지 관리, 생태환경, 실내환경 등 7개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건축물의 용도(공동주택, 복합건축물, 업무용 건축물 등)에 따라 심사한다. 인증등급은 최우수(그린 1등급),우수(그린2등급), 우량(그린3등급), 일반(그린4등급)이 있다.)
내일을 잡아라 한국고용정보원
자연에 가까운 건축물을 짓다
녹색건축전문가는 건축물이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적합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설계·시공 안을 계획하고 검토하며,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제안해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및 컨설팅을 수행하는 건축가 또는 관련 엔지니어를 말한다. 이를 위해 녹지 등의 생태공간 조성, 에너지 효율 고려, 친환경 자재 사용 등을 통해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적합한 건축물을 설계한다.
≫ 녹색건축전문가가 활동하게 된 배경은 「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」이 제정되면서(2013.2.23. 시행) 녹색건축 인증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. 법률에 따라 공공주택 1천 세대 이상을 짓거나 연면적 3천m2이상의 공공건축물을 지을 때는 녹색건축 인증제 적용해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지어야 한다.
≫ 녹색건축이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을 계획·설계·시공·평가하는 과정이며, 녹색건축 인증제란 에너지와 자원의 절약, 오염물질 배출 감소, 쾌적성,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거쳐 건축물에 대한 환경적인 성능을 인증하는 제도를 말한다.
≫ 녹색건축전문가는 건축전문가의 역량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며 친환경적인 전문지식 및 건축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. 이를 바탕으로 녹색건축 인증기준 등 친환경 지식을 활용해 건축물의 에너지와 자원이 얼마나 절약되는지, 오염물질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, 주변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확인하고 평가해 계획,설계, 시공에 반영한다.
(※녹색건축 인증기준은 토지이용 및 교통, 에너지 및 환경오염,재료 및 자원, 물순환 관리, 유지 관리, 생태환경, 실내환경 등 7개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건축물의 용도(공동주택, 복합건축물, 업무용 건축물 등)에 따라 심사한다. 인증등급은 최우수(그린 1등급),우수(그린2등급), 우량(그린3등급), 일반(그린4등급)이 있다.)
내일을 잡아라 한국고용정보원
페이지 만족도 조사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?